위암에 어떤 약이 쓰이나요?
질문자님의 현재 상황 및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일반적인 정보를 전달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조직검사를 통해 이 진단 된 이후, 의 종류, , 현재 상황 및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내시경적 수술, 위 , , 등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치료를 하게 됩니다. 또한 성 및 성 위암일 경우 수술을 하지 않고 항암화학요법, 면역치료제 등과 같은 전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각 치료 과정 중에 불편감(, 구역, 속쓰림, 소화불량,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증상 발생시에는 해당 증상에 맞는 대증치료(, , 등)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위암 치료시 쓰이는 항암화학요법 약물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수술 후 방지 목적,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암의 진행속도를 줄이고 생존기간을 늘리기 위한 목적, 원격 전이 의심이나 타 장기 전이로 인해 수술 어려울 경우 의 침범 정도를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위암치료에 사용할수 있는 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위 항암제 중 2~3가지 항암제를 투여하거나 표적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며, 개인의 위암 병기,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약제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적치료제란 암세포가 발생하는 과정이나 커지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약제를 말하며, 위암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표적치료제는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이 있습니다. 면역항암제는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치료 약제를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Nivolumab) 또는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사용이 제한적으로 허가된 상황이며, 구체적인 사항은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상담 및 진료 후에 진행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