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삼중음성 유방암의 부작용과 생존율은 어떤가요?

2024.03.14.

삼중음성 유방암이구요. 기수는 1~2기 사이입니다. 항암치료4회(TC계열)+ 방사선치료 30회정도로 치료계획이고 현재 항암치료 1회를 마친 상태입니다. 최근에 1차 항암 후 면역수치가 어떤 상황인지 검사를 해봤는데 호중구 수치가 3500정도 나왔습니다. 굉장히 양호한 상태라고 하더군요. 1차 항암 후 부작용은 여러가지가 찾아왔는데 희한하게 아직까지 모발이 빠지는 증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 남은 3회의 항암치료 동안 지금까지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증상들이 더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가요? 아니면 이미 여러 증상들을 겪어왔기 때문에 한층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을까요? 아 그리고 삼중음성은 표적치료제가 따로 없어서 일반 항암치료제를 사용한다고 들었는데 표적치료가 가능한 다른 유방암 형태와 비교할 때 추후 재발이나 예후적인 면에서 불리한 거 아닌가요? 삼중음성이라고 해도 기타 다른 장기의 암들과 비교할 때 예후가 확실히 좋다고는 알고 있지만, 제 케이스처럼 삼중음성 중에도 기수가 1~2기 사이라면 예후나 5년 생존율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예후
#생존율
#재발
#증상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부작용
  1. 의 종류, 용량, 치료 기간에 따라 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현재 호중구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해당되시며 탈모 증상을 경험하지 않고 계시나, 추후 치료를 받으시면서 추가적인 증상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탈모, 식욕 감퇴 또는 체중 변화, 메스꺼움, , 설사,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경험하신다면 담당 의사선생님 및 의료진에게 알려 부작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상담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2.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1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경우 호르몬 수용체 양성 환자의 경우 99%, 허투양성 환자의 경우 94%, 삼중음성 환자의 경우 85%로 나왔습니다. 삼중음성 유방암의 생존율이 낮아 보이지만 이는 상대적인 결과이며, 질문자님의 를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3. 해외의 공신력 있는 기관 조사 결과,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의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을 분석하였을 때 이 국한될 경우(localized) 유방암 생존률이 91%, 국소적으로 되었을 경우(reginal) 65%였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말씀드린 것 같이 이 또한 질문자님의 예후를 뜻하는 지표가 아님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항암 치료를 받으며 여러 질문과 고민들이 생기실 것 같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주세요. 루닛케어가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립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Breastcancer.org 홈페이지
  • Brouckaert, O., Wildiers, H., Floris, G., & Neven, P. (2012). Update o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prognosis and management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4, 511.
  • Lee, A., & Moon, B. I. (2014).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The Ewha Medical Journal, 37(2), 75-82.
  • Waks, A. G., & Winer, E. P. (2019). Breast cancer treatment: a review. Jama, 321(3), 288-300.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