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환자, 비타민D 600IU~4000IU 복용 적절할까요?

2024.03.14.

어머니(만68세)께서 (당뇨도 있음) 호르몬양성 2기 진단받고 작년에 부분절제수술, 항암4차, 방사선 치료까지 10월 중순에 끝내고 현재 방사크림 바르면서 항호르몬제인 페마라 복용중입니다~ 암진단 받고 비타민d가 좋다고 해서 5000iu 복용하다 3개월전 대학병원에서 골반ct검사하다가 신장결석 오른쪽 0.9cm 발견되어 먹던 고용량 비타민 끊고 물 많이 마시게 하고 운동하고 지내다 지방병원에서 오늘 검사해보니 ct검사에서 신장결석이 없어 졌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몇주전에 의사들이 얘기하는 유튜브 보다가 다른영양제는 안먹어도 비타민d는 챙겨먹어야 한다고 해서 비타민d 다시 챙겨먹을까하는데 용량이 어느정도가 적당한지 잘 몰라서 여쭈어봅니다~ 비뇨의학과 의사에게 물었더니 담당의사에게 얘기 해보라고 하고 비타민d 끊는동안 걱정되어서 최근에 1/25일에 비타민d 피검사 했더니 52.88ng/mL 가 나왔습니다~ 당뇨도 있으신데 약복용하면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6.2%로 나온상태입니다~ 고용량은 결석 위험성있으니 피하고 저용량으로라도 챙겨먹을까하는데 어느정도가 적당한지 궁금합니다~ 다른영양제는 안챙겨먹어도 비타민d가 항암비타민이라고도 부르고 암사망률 13% 줄인다는 얘기가 있어 겨울에 얼굴에만 햇빛 쬐는 것만으론 부족할거 같아 챙겨먹고 싶습니다~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생활습관
#비타민
#영양소
#검사
#결과지
#증상
#약물복용
#항호르몬제
#유방

진단과 치료 후 비타민 D 복용 적정량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비타민 D는 칼슘과 인의 흡수를 조절하여 정상적인 면역 체계 기능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데요. 60세 이상의 유방암 치료를 받은 여성은 특히 적절한 비타민 D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여러 연구에서 비타민 D는 질병 진단 후 유방암 의 예방, 그리고 낮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비타민 D의 정상수치는 50ng/ml 전후이므로 최근 1/25에 검사하신 결과 수치(52.88ng/mL)는 정상범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경우 비타민 D 권장 섭취량에 대한 일치된 의견은 없으나, 미국 보건당국의 자문기관인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에서는 70세 이하 성인의 경우 권장식이 허용량(RDA) 1일 15μg(600IU), 최대 섭취량 1일 100μg(4000IU)을 준수할 것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보호자분이 질문해주신 내용처럼 비타민 D의 과도한 섭취는 독성 효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비타민 D는 칼슘 수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석회증(신장, 심장 또는 폐에 칼슘염 침착) 및 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하고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수치를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비타민 D는 보충제뿐 아니라 음식과  햇빛에의 노출로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나이가 들 수록 피부가 생성하는 비타민 D의 양은 줄어들고, 창문을 통한 햇빛으로부터는 비타민D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또한 햇빛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햇빛에서 보내는 시간을 적당히 제한하시고 몇 분 이상 햇볕을 쬐고 있을 때에는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15 이상인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것을 권고드립니다.

추가로, 비타민 D 섭취에 도움이 되는 식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타민 D는 지용성이기 때문에 약간의 지방이 포함된 식사나 간식과 함께 섭취할 때 가장 잘 흡수됩니다.

  • 우유, 두유, 아몬드 우유, 귀리 우유
  • 고등어, 연어, 참치 등 기름진 생선
  • 계란 노른자
  • 오렌지 주스
  • 시리얼과 오트밀
  • 요구르트
  • 버섯

당화혈색소 수치 관련해서는 현재 관리를 잘 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관리 목표는 7% 이하이지만 담당 의사선생님과 함께 환자분 상태를 고려하여 개별 목표치를 정한 뒤 관리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홈페이지 
  • National Cancer Institute 홈페이지
  • Viale P. H. (2017). Vitamin D and Breast Cancer: Should Our Patients Be Taking a Supplement?. Journal of the advanced practitioner in oncology, 8(1), 10–11. https://doi.org/10.6004/jadpro.2017.8.1.1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