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키스칼리 내성 시 다른 치료제로 바꿀 수 있나요? 호르몬양성 유방암에 맞는 면역항암제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2024.03.14.

현재 유방암 폐전이 상태이며 홀몬양성 환자이며키스칼리+페마라 복용중입니다 1.키스칼리 내성이 생기면 대체할만한 약이 얼마나 있는지요? 홀몬양성 전이 환자가 복용할만한 신약이 얼마나 있나요? 2.홀몬양성 유방암은 면역항암제가 존재하는지요? 존재한다면 어떤약이며 효과는 어느정도인가요?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호르몬수용체
#재발
#전이
#항암치료
#면역항암제
#치료계획
#약물복용
#표적항암제
#신약
#유방
  1. 현재 표적치료제인 와 항호르몬제인 를 복용 중이시군요. 해당 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HER2 음성인 성 또는 환자분들께 주로 행해지는 치료법인데요. 현재 질문자님께서 복용하시는 것처럼, 표적치료제와 항호르몬제 약물의 병용투여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대부분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키스칼리에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일 경우, 키스칼리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키스칼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표적치료제로는 버제니오(성분명:abemaciclib), 입랩스(성분명:palbociclib)가 있습니다. 키스칼리, 입랩스, 버제니오 약물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모두 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 음성인 진행성 또는 유방암 환자에게 상당한 치료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의 적합성과 약물의 효과 및 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 담당 의사 선생님이 환자분의 상태와 각종 검사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해주실 것입니다.
  2. 두 번째 질문인 유방암의 면역 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유방암의 면역 항암치료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면역 항암치료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작용을 조절하여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현재 국내에 사용 허가된 유방암 환자들의 면역항암제로는 (상품명:Atezolizumab), (성분명:pembrozumab)가 있으나, 보통 가 좋지 않은 삼중음성 유방암( 수용체, 수용체, HER2 수용체 모두 음성인 경우)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인 유방암 환자 치료의 경우 호르몬을 기반으로 한 화학 요법이 가장 보편적이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한 면역 항암치료제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유방암의 약물 관련하여 답변드린 사항 이외에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정보센터 홈페이지
  • Braal, C. L., Jongbloed, E. M., Wilting, S. M., Mathijssen, R. H., Koolen, S. L., & Jager, A. (2021). Inhibiting CDK4/6 in breast cancer with palbociclib, ribociclib, and abemaciclib: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Drugs, 81, 317-331.
  • Medical News Today 홈페이지
  • Raikwar, S., Jain, A., Saraf, S., Bidla, P. D., Panda, P. K., Tiwari, A., ... & Jain, S. K. (2022). Opportunities in combinational chemo-immunotherapy for breast cancer using nanotechnology: an emerging landscape. Expert Opinion on Drug Delivery, 19(3), 247-268.
  • Tarantino, P., Gandini, S., Trapani, D., Criscitiello, C., & Curigliano, G. (2021). Immunotherapy addition to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early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159, 103223.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