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Q. 갑상선 여포암, 피막침범으로 전이 가능성 있나요?

2024.03.14.

안녕하세요.39세고 초음파,폐 시티,세침 검사상 갑상선 양성종양이라해서 반절제했는데 조직검사결과 6센치 피막침범 최소침습 여포암으로 나왔어요. 3개월후에 전절제와 동위치료 하기로 했는데요 이런경우 사이즈와 피막침범 때문에 전이됐다고 봐야하나요? 저는 인터넷으로 알아보는게 한계라서 정확하지 않을듯한데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이런 케이스의 경우 임상에서는 예후가 어땠을지 궁금합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예후
#검사
#생존율
#추적관찰
#검사
#전이
#치료계획
#방사선치료
#갑상선

안녕하세요, 답변 제공에 앞서 먼저 루닛케어는 근거 기반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주치의의 진단과 치료 계획 범위 안에서 상담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자체적인 진단과 처방을 내리지는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갑상선 여포암은 조직학적 침범 정도에 따라 피막침범만 있을 경우를 최소 침습 여포암, 피막 침범과 관계없이 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를 중증도 침범 여포암, 갑상선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을 광범위 침범 여포암으로 세분화 됩니다. 피막 침범이란 갑상선을 싸고있는 막으로 이 침입했다는 뜻입니다. 피막 침범만으로는 가 되었다고 판단하지 않지만, 갑상선을 둘러싸고 있는 막을 뚫거나 뚫기 직전이니, 이를 넘어서면 이나 타 장기로 타 장기로 전이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집니다. 정확한  암의 는 수술에서 절제한 조직의 검사 결과와 수술을 한 외과 의사의 소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되며, 전이 파악하기위해서는 각종 진단검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현재 병기 및 전이상태에 대해서는 질문자님의 상태를 잘 알고계시는 담당 의사선생님께 문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미숙한 세포가 기능을 다 하기 위해 형태나 활동이 성숙해 가는 과정을 라고 부르는데, 은 분화도에 따라서 분화암(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미분화암(역형성암)으로 나뉩니다. 분화도가 좋은 유두암과 여포암은 전체 갑상선암의 약 95%를 차지하며 다른 암에 비해 가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진단받으신 여포암은 전체 갑상선암 중 10~15% 정도로, 두번째로 흔한 암에 속합니다. 여포암은 유두암처럼 ‘잘 분화된’ 갑상선암으로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유두암보다는 조금 더 공격적인 암에 해당합니다. 여포암은 혈관 침범이 많아 폐나 뼈 등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최소 침습 여포암 중에서도 피막침범이나 혈관침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예후를 갖는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어 전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치료에 대한 반응 자체는 유두암과 여포암이 큰 차이가 없었고, 조직학적으로 침범 정도가 높을수록 방사성 요오드 치료 효과가 낮으며 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현재 상태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예정된 치료를 잘 받으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미국 암 협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암이 어디까지 퍼졌는지에 따라 갑상선암의 5년 상대 을 추적하고 있었으며, 특별히 여포암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부적(Localized): 암이 갑상선 밖으로 전이된 흔적 없음, 생존율 거의 100%
  • 국소적 전이(Regional): 암이 갑상선 밖 근처 조직으로 전이됨, 생존율 98%
  • 원거리 전이(Distant): 뼈와 같은 신체의 먼 곳으로 전이됨, 생존율 63%

갑상선 여포암은 유두암과 비교하였을 때 원거리 전이가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물론 그 비율은 드물지만, 혈관 침범을 하여 원거리 전파가 발생 가능하며, 폐, 뼈, 뇌, 간, 방광, 피부 등으로 멀리 퍼질 수 있다는 잠재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재발 혹은 전이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정기 검진에서는 혈액검사, CT scan, 초음파 검사, 흉부 x-ray, 뼈 스캔 등의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정기검진의 빈도와 검사의 종류는 갑상선암의 종류, 병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 후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즉 예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갑상선호르몬제 복용을 게을리 하지 말고 정기적인 검진으로 추적관찰을 받으시길 권고합니다. 

갑상선 반절제 이후, 전절제 수술과 방사성 치료를 앞둔 상황에서  각종 의료정보를 검색하며 느끼셨을 불안감을 저희도 공감합니다. 앞으로도 쉽게 찾지 못하는 건강정보에 대해 최신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정확한 정보를 전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앞으로의 암 치료 여정에서 또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들러 질문을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 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김완욱, 허성모, 김성훈, 이세경, 김상민, 오영륜, ... & 김지수. (2010). 갑상선 여포암의 예후인자 및 치료.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78(3), 149-156.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 American Cancer Society 홈페이지
  • Clayman Thyroid Center 홈페이지
  • Kang Sung Keun, Kim Bong Kyun, Sun Woo Young and Lee Jina. (2020). 갑상선 암의 수술 전 초음파 소견과 피막 침범의 관계. 대한외과초음파학회지, 7(2), 15-20.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