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내가 허투 유방암 2A기로 수술후 항암 6회 그리고 표적 18회를 마칩니다. 항암치료는 TCH 그리고 표적은 허셉틴으로 하였습니다. 림프로 전이가 1개 되어있었으며 수술로 제거하였습니다. 현재로서는 타 장기에 전이된 것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케싸일라의 필요성들에 대해서 말해주어서 저희 케이스도 해당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1. 케사일라는 선항암 하고 암이 남아있는 환자에게 만 해당되는 치료법인지. 2. 제 아내의 경우처럼, 항암 및 허셉틴 치료후에도 케사일라 치료가 가능한지? 가능하면 보험 적용은 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보호자님의 질문에서 아내분을 위해 많은 정보를 알아보시고 최선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시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저희를 믿고 질문 주셔서 감사드리며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답변에 앞서, 루닛케어는 알려주신 환자 정보를 토대로 체계적 문헌 고찰과 공신력 있는 기관의 근거자료를 활용하여 객관적인 정보만을 제공해 드린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언급하신 내용을 고려하여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현재 상황에서 캐싸일라 치료의 적용 대상은 아닌 것으로 사료됩니다.
『환자에게 처방·투여하는 약제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에서 캐싸일라의 적용 기준은 ‘ 및 트라스투주맙 기반의 수술 전 선행 를 받은 후에도 잔존 이 있는 HER2 양성 조기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단독 투여’가 가능합니다. 2022.7.1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되면서 해당 기준에 부합한 경우 급여 대상이 됩니다.
아내분의 경우, 탁산 및 트라스투주맙 기반의 수술 전 항암치료 없이 수술을 완료하셨고, 현재 침습적인 잔존 병변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허가된 캐싸일라 적용 대상은 아닌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환자분의 전체적인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에 답변드린 내용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알려드린 정보를 토대로 주치의 선생님과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추천해드립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저희 루닛케어 라이브러리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확인해 보시기를 부탁드리며,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 Breast Cancer 홈페이지
• Naitonal Cancer Institute 홈페이지
• Pan-Asian adapted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a KSMO-ESMO initiative endorsed by CSCO, ISMPO, JSMO, MOS, SSO and TOS. Ann Oncol. 2020 Apr;31(4):451-469.
• Trastuzumab Emtansine for Residual Invasive HER2-Positive Breast Cancer. N Engl J Med. 2019;380:617-628.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
• 루닛 라이브러리, > 치료 중 > 치료방법 >
• 루닛 라이브러리, > 치료 중 > 치료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