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Q. 위암 가족력, 발병 위험 높아져서 검진 필요하다구요?

2024.03.14.

소천하신 아버지께서도 위암으로 고생하셨는ㄷ데, 위암은 자녀에게도 유전되는 것인가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진
#가족력
#발생원인
#생활습관
#예방법
#유전자
#정보찾기
#국가암검진
#위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은 주요 5대 이 가장 높은 암입니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는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위암 유전자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가족 간에 위암 위험요인, 즉 생활습관을 공유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위암 발생률이 2배정도 높다고 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으면서 에 감염된 경우는 위암 위험이 3.4 배로 증가하며, 흡연력이 있는 경우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암에 걸렸다고 해서 자녀에게 무조건 유전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기적인 암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등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암은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보다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위암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 관련 질병, 식생활, 흡연, 음주,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해외 공신력 있는 기관 연구에 따르면, 위암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색상의 과일과 채소, 통곡물을 포함하는 건강한 식생활 생활화하기
  • 짠 음식, 탄 음식, 훈제음식, 적색육 및 가공육, 당이 높은 음료, 고도 가공식품 제한하기
  • 술, 담배 피하기

위암은 조기에 발견 시 80~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입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는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경우 40세 이후부터는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1~2년에 한 번은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천하신 부친께서 위암을 앓으셨던 적이 있으신 만큼, 잊지 않고 정기검진을 시행하시고, 속 불편감 등의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American Cancer Society 홈페이지
  • Choi, Y. J., & Kim, N. (2016). Gastric cancer and family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31(6), 1042–1053.
  • Mayo clinic 홈페이지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