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가 위암 수술하셨는데 가족력은 얼마나 위험한건가요? 저도 위염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은 주요 5대 중 이 가장 높은 암입니다.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는 경우,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이유는 위암 유전자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가족 간에 위암 위험요인, 즉 생활습관을 공유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위암 발생률이 2배정도 높다고 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으면서 에 감염된 경우는 위암 위험이 3.4 배로 증가하며, 흡연력이 있는 경우 이보다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암에 걸렸다고 해서 자녀에게 무조건 유전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기적인 암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등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암은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보다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합니다. 위암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 관련 질병, 식생활, 흡연, 음주,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위염이 있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모든 위염이 위암으로 되는 것은 아니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나, 위염을 방치하면 위암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염이 지속된다면 암 전 단계인 ()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 선종을 방치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 암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식습관 및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염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위에 과도한 자극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뜨거운 음식이나 맵고 짠 음식, , 카페인, 향신료 등 위 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평소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위에 무리가 가지 않는 양으로 조절하여 드시는 등 건강하고 규칙적인 식습관을 만들려고 노력하신다면 위암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해외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는 위암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식습관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위암은 조기에 발견 시 80~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입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는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경우 40세 이후부터는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1~2년에 한 번은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친께서 위암을 앓으셨던 적이 있으신 만큼, 잊지 않고 정기검진을 시행하시고, 속 불편감 등의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경우에는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앞으로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