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Q. 베마리투주맙 부작용, 경미한 피로부터 망막 독성까지 다양하나요?

2024.03.14.

베마리투주맙약 부작용 알고 싶습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설사
#항암치료
#약물복용
#부작용
#구강건조
#피로
#시력이상
#피부변화

베마리투주맙약의 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베마리투주맙은 내에서 종양 세포를 증식시키는 특정한 단백질(FGFR2b)에 작용하는 항체인데요. 베마리투주맙이 이 단백질과 결합하면 종양의 성장, ,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억제하고, 종양 세포를 파괴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냅니다.



베마리투주맙은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고, 환자에게도 임상시험을 중입니다. 다양한 국가에서 폐암의 비소세포암과 상피세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인데요. 베마리투주맙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요법과 다른 와 병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아직 모든 부작용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부작용에 대한 정보만을 전달해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베마리투주맙은 FGFR2b라고 하는 단백질에 작용하는 항체로, FGFR 억제제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일부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FGFR 억제제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1. 안과적 독성: 안구건조증(19~21%)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그다음으로 색소상피박리(4%), 중심장액망막병증(9%) 등의 특이한 망막 독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경미하거나 무증상이지만 환자의 영구적인 후유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을 시작하기 전, 시력 변화가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포괄적인 안과 검사가 권장됩니다.
2. 피로: FGFR 억제제로 인한 피로가 가장 일반적인 증상으로 보고되었습니다.
3. 피부 독성: (20~40%), 탈모증(24~46%), 손발톱 독성(5~17%), 설사(15~60%)와 같은 피부 독성이 임상 시험에서 보고되었습니다.

종합하여 말씀드리자면, 베마리투주맙을 포함한 FGFR 억제제의 부작용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경증에서 중등도의 부작용으로 보고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관리와 대처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의 부작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부작용의 정확한 발생 빈도와 심각도는 환자의 건강 상태와 임상 시험 결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National Cancer Institute 홈페이지
  •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홈페이지
  • Shin, E., Lim, D. H., Han, J., Nam, D. H., Park, K., Ahn, M. J., ... & Chung, T. Y. (2020). Markedly increased ocular side effect causing severe vision deterioration after chemotherapy using new or investigational epidermal or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inhibitors. BMC ophthalmology, 20, 1-13.
  • Catenacci, D. V., Rha, S. Y., Bang, Y. J., Wainberg, Z. A., Chao, J., Lee, K. W., ... & Lee, J. (2017). Updated antitumor activity and safety of FPA144, an ADCC-enhanced, FGFR2b isoform-specific monoclonal antibody, in patients with FGFR2b+ gastric cancer.
  • Salati, M., Caputo, F., Baldessari, C., Carotenuto, P., Messina, M., Caramaschi, S., ... & Bonetti, L. R. (2021). The Evolving Role of FGFR2 Inhibitors in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From Molecular Biology to Clinical Targeting. Cancer Management and Research, 7747-7757.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