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 치료는 어떤 경우에 시행하게 되나요?
먼저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의 목적 및 종류에 관해서 간략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을 치료하기 위해 를 투여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몸속에 들어온 항암제는 온몸을 돌면서 암세포의 분열을 막고 성장을 방해하거나 제거합니다.
에 걸린 모든 환자분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것은 아니며, 환자의 상태 및 검사 결과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을 합니다.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는 매우 다양하며, 목적에 따라 수술 전에 시행하는 선행 항암화학요법, 수술 후에 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보조 항암화학요법, 수술 여부와 상관없이 암의 진행을 늦추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완화 항암화학요법(고식적, 재발 및 )으로 나눠집니다.
일반적으로 호르몬 양성 유방암은 공격적으로 증식하는 암은 아니라고 알려져 있어서 호르몬 치료만 시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환자분의 암 진행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현재 수술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가능한 유방을 보전하기 위해 수술 전 의 크기를 줄이는 목적으로 선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전이 또는 재발의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 상황이라면, 수술 후에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암으로 인한 위험성 판단에는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 여부, 종양이 크거나 빠른 진행속도, 폐경 유무, 암의 가 높은 경우, HER2 양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고려됩니다. 여러 경우를 고려하여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항암화학요법을 통한 전신 치료는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 항암제와 항호르몬제를 함께 투여하였지만, 최근에는 약물의 에 비해 항암 효과가 적어 항암제를 시행 한 후 항호르몬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효과 예측을 위한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여 항암화학요법의 필요성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호르몬 수용체 양성의 유방암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보조 항암화학요법이 권장되지만, 고위험군이 아닌 환자는 호르몬 요법 단독으로 치료를 시행하며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의 결정은 유전자 검사, 환자의 건강 상태, 암의 상태를 포함한 위험도를 평가하여 담당 의료진이 결정하기 때문에 담당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해 보시길 권고해 드립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