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좋은 식습관과 알맞은 피검사는 무엇일까요?

2024.03.14.

작년 표준치료 후 현재 페마라 복용중입니다 (당뇨 고지혈증 있음) 먹는 것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글을 씁니다 1. 암환자에게 현미가 좋다고 하는데 어머니께서 식감 거친 것을 좋아하지 않아 현미찹쌀로 대신 먹고 있는데 현미찹쌀도 암환자에게 도움이 될까요? 현재 찰보리쌀 (가장 많이), 현미찹쌀, 집에 남아있는 흰쌀과 찹쌀 합쳐 1컵, 서리태콩 (쌀들 전부 합쳐 5~6컵정도) 이렇게 섞어 밥을 지어 먹고 있습니다. 귀리도 좋은건 알지만 식감이 딱딱한? 편이라 어머니께서 좋아하질 않으시더라구요.. 밥을 지을때 넣으면 좋은 쌀이나 음식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 그 외에 어떤 음식이 유방암 재발 예방에 도움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반대로 유방암에 나쁜 음식도 알고 싶습니다. 3. 피검사할때 추가하여 알아보면 좋은 검사도 알고 싶습니다. crp 염증 검사와 혈중 비타민d 검사와 당뇨도 있어서 당화혈색소, 고지혈증으로 콜레스테롤 검사 외에, 병원에서 기본적으로 하는 검사 외에 또 추가로 검사하면 좋은 피검사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혈액검사
#검사
#생활습관
#예방법
#비타민
#영양소
#식습관/식단
#재발
#검사
#음식/식품
#유방

1. 현미는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하고,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을 하는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한예방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현미를 먹은 모델 쥐에게서 의 크기가 감소하고 암 진전 속도가 더디게 되었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미는 소화가 잘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처럼 현미 찹쌀밥으로 드시는 것은 좋은 섭취 방법입니다.

말씀하신 서리태콩의 안토시아닌, 성분과 귀리의 베타글루칸 성분은 암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에게는 여성 호르몬 유사 물질인 이소플라본이 많이 함유된 콩류를 드시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 드시고 계시는 구성 중에 서리태콩은 가급적 제외하실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서리태콩 대신 밥을 지을 때 넣으면 좋은 곡물로는 수수, 보리, 율무, 퀴노아 등이 있습니다. 만약 흰쌀이 아닌 잡곡밥의 식감이 딱딱해 섭취가 어려우실 경우에는 사용하는 잡곡들을 통곡이 아닌 분쇄된 형태로 이용하시거나, 밥을 짓기 전에 잡곡만 따로 푹 익혀서 쌀밥에 섞어 드시는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



2-1.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음식 및 건강한 식생활은 다음과 같습니다.

  • :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은 비타민 C, 비타민 E, , 셀레늄 등이 있습니다. 자연적인 항산화 물질은 신선한 과일(오렌지, 레몬, 딸기), 야채(시금치, 당근, 브로콜리), 견과류(아몬드, 호두) 등을 통해 섭취할 수 있습니다. 과일과 채소의 색깔은 여러 항산화 물질이 가지는 특성 중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매일 다른 색상의 과일과 채소를 드시는 것으로 계획하시면,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드실 수 있습니다.
  • 흰 살코기: 육류를 고를 시 기름기가 적은 고기를 선택하고,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붉은 고기보다는 닭고기 같은 흰 살코기를 선택하세요.
  • 칼슘: 유방암 치료는 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적절한 칼슘 섭취는 뼈와 근육 건강에 도움을 주어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킵니다.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유제품, 멸치, 마른 새우, 뼈째 먹는 생선, 김과 미역, 다시마 같은 해조류, 시금치 등의 녹색 채소류, 참깨, 두유, 두부와 같은 콩 가공식품을 드세요. (주의: 유방암 환자의 경우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을 다량 섭취하면 호르몬에 영향을 끼치므로, 콩이나 이소플라본 농축액, 약물은 주의하셔야 합니다.)
  • 비타민과 무기질: 브로콜리, 양배추 등 녹색 채소와 토마토, 양파, 버섯, 당근 현미 등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며 건강한 식단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비타민 D: 비타민 D는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유방암 재발에 도움을 줍니다. 해조류, 버섯, 생선(고등어, 연어, 참치), 계란 노른자, 우유에 비타민 D가 풍부하며, 가벼운 산책을 통해 자외선에 몸을 노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2. 유방암 재발 예방을 위해 주의해야 하는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지방식이: 과체중은 유방암의 강력한 위험 요소이며, 체중 증가는 유방암 재발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지방이 많은 고기, 튀김, 패스트푸드, 과자, 버터와 마가린 등을 피하고, 건강한 식물성 지방인 올리브유, 견과류, 아보카도 등을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가공 식품: 가공된 음식(소세지, 햄, 베이컨, 훈제요리 등)은 나트륨 등의 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유방암과 관련된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가공된 음식보다는 가능한 신선한 생선, 콩, 견과류 등을 섭취하세요.
  • 설탕과 밀가루: 설탕이 많이 포함된 단 음식은 비만의 원인이며, 인슐린에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염증을 증가시켜 유방암 발병 위험을 커지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과 밀가루가 많이 포함된 음료수, 케이크, 쿠키, 과일 주스 등의 음식을 제한하세요. 설탕 대신 과일을, 밀가루 대신 통곡물을 섭취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 튀긴 요리보다는 찐 요리를 먹고, 구운 음식의 경우에는 탄 부분을 먹지 마세요.
  • 및 담배: 술과 담배는 유방암을 포함한 많은 암의 위험 요소입니다. 가능한 음주를 피하시고, 소량으로 제한하세요.



음식만으로는 유방암을 완전히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는 없으므로, 건강한 식습관 및 생활 습관을 지키셔야 합니다. 식단을 구성하실 때 지방 20~35%, 탄수화물 45~65%, 단백질 10~35% 정도의 비율로 구성해 보시기를 추천해 드리며, 적정한 운동을 하실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유방암 환자의 음식 관리] 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는 자세한 내용을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설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피검사의 경우, 담당 의사선생님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수치를 확인하시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피검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절대호중구(ANC), 감염 수치(CRP)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전혈구 CBC 검사와 나트륨(Na), 칼륨(K) 등 전해질을 확인하는 전해질 electrolyte 검사, 그리고 전반적으로 신장이나 간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피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을 보는 검사로는 혈중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청소율(Cr)이 있으며, 간의 이상을 보기 위해서는 보통 알부민(Albumin), 총 빌리루빈(bilirubin), 간 수치(AST/ALT 혹은 GOT/GPT) 등을 확인합니다. 이 외에 당뇨와 고지혈증을 가지고 계신다면 알고 계시는 대로 혈중 포도당 수치(glucose), 당화혈색소(HbA1C) 및 지질 검사 -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중성지방(TG) - 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추가로, 재발/와 관련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CA-15-3, CA 27-29, CEA와 같은 검사를 추가할 수도 있으나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민감도가 낮아 추천되지는 않습니다.

피검사 항목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병원에에 다니시면서 특별히 이상이 있다고 말씀 들은 것이 없으시다면 특별히 추가해서 봐야 하는 검사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피검사 결과지를 보고 현재의 건강 상태를 해석한다면 치료 과정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혈액검사 정보] 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는 서울아산병원의 자료를 공유해 드립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설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또한 [혈액검사 외 검사/시술/수술 정보]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는 자료를 공유해 드립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루닛케어에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여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고은희. (2016). 오곡밥이 인체에 미치는 영양학적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5-169.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김수옥, 박건영, 이숙희, & 황경미. (2006). 잡곡류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In Vitro 항암효과. Cancer Prevention Research, 11(2), 144-149.
  • 캔서앤서 홈페이지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 American Cancer Society 홈페이지
  • Johns Hopkins medicine 홈페이지
  • Stanford Medicine Healthcare 홈페이지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