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Q. 폐암과 심부전 있는 아버지, 잇몸 수술 진행해도 될까요?

2024.03.14.

아버지께서 심부전으로 내원하셨다가 폐선암4기로 림프절과 뼈로 전이된것을 5월23일경 진단받으셨구요. 뇌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소견은 없다고 합니다. 6월9일에 유전자검사결과와 치료방향을 기다리고 계십니다. 현재 증상으로는 뼈쪽의 통증이 있으시구요. 심부전치료를 위해 이뇨제와 면역억제제 처방 받아오셔서 복용후 어지러움증과 무기력하십니다. 식사도 잘하시고 계시고 원체 말수가 없으시지만 포기하지 않으신다고 약속도 하셨어요. 궁금한점은 아버지께서 오늘이나 내일경에 잇몸 4군데를 절개하고 임시로 박아놓은 나사를 교체하는 수술을 계획중이셨는데 식사가 어려우시다고 본인은 치과치료를 받고 싶어하십니다. 가족들은 보름가까이 심부전치료와 암검사때문에 식사도 못하시고 체력도 많이 떨어지신 상태라 수술을 말리고 싶어요. 하지만 본인 의지가 너무 강하셔서 향후에 항암과정에서 식사가 어려울때 더 식욕을 떨어트리면 어쩌나 본인의시대로 치료를 받으시는게 맞는걸까 고민됩니다. 아버지의 잇몸치료 해도 될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주의사항
#구강
#뼈
#전이
#유전자검사
#항암치료
#치료계획
#약물복용
#심혈관
#통증

안녕하세요. 먼저 얼마 전 아버님의 진단 및 치료 과정으로 힘든 시간이 되셨을 텐데요. 다가오는 치과 치료를 앞두고 걱정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폐암 환자가 치아에 인공 뼈를 이식하는 수술을 받을 수 있는지는 환자분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식사 능력, 치료의 장/단점, 수술 후의 회복력, 향후 의 적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담당 의사선생님 및 치과 의사선생님과 상의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아버님께서 치료 의지가 강하게 있는 상태이므로,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 모두 함께 치료의 장/단점을 논의하시고 결정하시기를 권유해 드립니다. 폐암과 심부전 같은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치과 수술 시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암 심부전 환자의 치과 수술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에 참고하시는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이 손상되어 심장이 신체에 적절하게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폐암 심부전 환자가 어떠한 침습적인 처치를 시행하게 될 경우 우선 폐 기능과 심장 기능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환자의 현재 건강 상태, 면역 기능, 복용 중인 약물과의 상호작용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여 수술이 꼭 필요한 수술인지 평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치과 수술은 비교적 안전한 치료 방법이지만, 폐암과 심부전과 같은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과 수술 시에는 주로 전신 보다는 국소 마취가 사용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면 마취로 될 수도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심장 기능이 이미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수면 마취가 심혈관 및 호흡기계의 부담이 더욱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뼈 가 동반된 환자는 뼈 전이에 대한 치료를 받는 동안 일상적인 처치를 제외한 치과 임플란트의 발치 또는 삽입과 같은 치과 치료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뼈 전이에는 일반적으로 (Bisphosphonate)와 (Denosumab)과 같은 약물을 통해 뼈 전이를 예방하거나 늦추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의 복용은 1~2% 정도의 확률로 턱의 골 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항암화학요법 치료 진행 예정이 있으시다면, 항암화학요법을 앞둔 암 환자에게는 치과 검진 및 치료를 수행하시는 것이 권고됩니다. 항암화학요법은 구강 위생 악화 및 섭취 불량, 면역력 저하, 뼈 건강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에 미리 검진 및 치료를 시행하기 때문입니다.

위의 사항 외에도 치과 수술을 계획하시는 병원에 따라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만약 심부전 치료를 받고 있는 병원과 같은 병원이 아닌 외부 치과에서 수술을 진행하게 되시는 것이라면, 담당 의사선생님께 반드시 말씀을 드리고 인공 뼈 이식 수술을 미루거나 다른 방법이 있는지, 치료를 진행해도 되는지 상담해 보셔야 합니다.



반대로 심부전 치료를 받고 있는 병원의 담당 의사선생님께서 평가 후 치료 계획을 수립하신 것이라면 치료에 따른 장/단점을 명확하게 재상담 후 진행을 결정하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아버님의 정확한 건강상태를 알 수 없으나, 같은 병원이라면 담당 의료진들께서 환자분의 심장 및 호흡기 상태를 평가 후 치과와 협진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즉, 폐암 및 심부전에 따른 특수한 주의사항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치를 통해 심장에 부담을 줄이고 모니터링 하실 것이며, 수술 전후에 적절한 처치와 관리를 시행하게 될 것이므로 담당 의료진의 계획을 따르실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 약물에 따라 주의해야 할 질병 정보집2
  • American cancer society 홈페이지
  • Cancer research UK 홈페이지
  • Mayo clinic 홈페이지 
  • Nam, S. J. (2023). Proper Oral Hygiene and Dental Care for Cancer Patients.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Cancer, 11(1), 41-44.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