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의 통증, 호르몬 불균형 때문일까요? 원인이 뭔지 궁금합니다.

2024.03.14.

유방이 계속 양쪽다 아프네요 3달전 호르몬 검사에서 호르몬불균형 폐경은 아니라고 했구요 가슴은 5년전 축소수술을 하고 모양때문에 보형물을 넣었어요 작년 유방초음파에서는 정상이였는데.. 그리고 다이어트때문에 제니칼을 보용하고그렇다는생각도 들고요 혹 이약때문일지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검사
#호르몬
#검사
#자가검진
#초음파검사
#유방촬영술
#약물복용
#유방
#부작용
#통증

유방에 이 있는데 현재 먹는 약 때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걱정이 있으시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양쪽 유방통은 보다 월경 주기와 같은 여성 호르몬 변화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선 유방통이 월경 주기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최근에 월경 주기의 변화가 있었는지도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유방 외관에 상처가 있거나 멍울이 만져지면서 통증이 있다면, 유방암 감별 진단을 위해 진료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통증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일으킨다면, 부인과를 방문하셔서 진찰받아 보시는 것을 권유해 드립니다.



배란과 월경을 하는 시기에 여성 호르몬 변화로 발생하는 증상 중의 하나로 주기성 유방통이 있습니다. 주기성 유방통은 대개 생리 시작 7~10일 전에 시작되며, 통증이 점점 심해지다가 생리가 시작되면서 사라집니다. 대개 양쪽 유방 모두에서 발생하며, 따끔거리고 뻐근하고 쑤시는 듯한 느낌을 호소합니다.



주기성 유방통 외에 질환이나 다른 원인으로 나타나는 유방통도 있습니다. 유방의 감염, 급성 성 질환, (), 유방 조직 이외의 으로 유방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말초 혈관이나 자율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식, 약물 등의 원인으로도 유방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방통의 치료는 유방통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통증을 완화하는 것입니다. 유방통 관련한 특이한 질환 없이 발생하는 유방통의 대부분은 특별히 치료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유방을 가볍게 자극해도 통증이 심하거나 통증의 기간이 길어지면,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또한 말초 혈관이나 자율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커피, 코코아, 콜라 등 카페인이 많이 들어간 음료나 초콜릿 등을 피하고, 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입니다. 음식 조절과 같은 방법으로 유방통 완화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호르몬 제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유방축소술이나 유방 보형물은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코호트 연구에서는 유방축소술이 유방암 발병의 위험을 유의하게 낮춘다는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또 다른 코호트 연구에서는 유방에 보형물을 삽입한 집단의 유방암 위험이 일반 여성 집단보다 낮다는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다이어트 목적으로 제니칼 복용 중이라고 하셨는데요. 제니칼 에서 직접적으로 유방통에 관해서 언급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제니칼 투여한 9.8% 정도가 월경불순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고 보고가 되었습니다. 제니칼 복용과 다이어트 영향으로 여성 호르몬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월경 주기 변화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유방의 통증이 여성 호르몬 변화나 월경 주기 변화와 연관성이 있을지 확인해 보시기를 권유해 드립니다.



추가로 [유방암 자가검진 방법]에 대해서 알면 도움이 되는 자세한 내용을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설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루닛케어에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여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 Berkel, H., Birdsell, D. C., & Jenkins, H. (1992). Breast augmentation: a risk factor for breast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6(25), 1649-1653.
  • Fryzek, J. P., Ye, W., Nyrén, O., Tarone, R. E., Lipworth, L., & McLaughlin, J. K. (2006). A nationwide epidemiologic study of breast cancer incidence following breast reduction surgery in a large cohort of Swedish women.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97, 131-134.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