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처음 조직검사상 상피내암 진단받고 수술후 조직검사에서 침윤0.4cm라 1기로 최종병기 확정되었습니다! 근데 저같은 경우 수술시 감시림프절생검술을 하지 않은 경우인데요 담당 교수님께서는 이정도 사이즈는 재수술 하지 않는 추세라고 하시며 방사선치료와 약물치료만 권하셨습니다! 지금 방사선치료 4회 받았구요 여기저기 정보를 보다보니 감시림프절 안한게 좀 신경쓰여서 질문드려봅니다! 감시림프절 안해도 되는건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치료과정에서 시행되는 은 가 없는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수술적 처치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 된 다기관 임상연구에 따르면, 조기 유방암에서 시행되는 감시림프절 생검의 생략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장기적으로 유방암환자의 삶의 질을 보존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시행하고 있는 국내 다기관 임상연구에서는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즉 유방에서 시작된 이고, 크기가 5cm 이하이면서 수술 전 유방 에서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지 않는 조기 유방암의 경우, 감시림프절 생검을 생략하는 등의 수술적 처치를 최소화하거나 생략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0.4cm으로 최종병기 1기로 확정되었다고 하신 바, 담당 의사선생님께서 현재의 치료방향과 질문자님의 상태, 최종병기, 전이 위험도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에 따라 질문자님이 림프절 전이 의심소견이 없고, 크기가 작은 1기 에 전이, 방지를 위한 와 를 계획하셨기 때문에 이득과 을 고려하여 판단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남은 치료 잘 진행되시길 바라며 루닛케어의 답변이 질문자님의 걱정과 고민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루닛케어에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루닛케어는 근거 기반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주치의의 진단과 치료 계획 범위안에서 상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자체적인 진단과 처방을 내리지는 않는다는 양해의 말씀 드립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