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1기 경험자, 한약 약침으로 허리협착증 치료해도 될까요?

2024.03.14.

안녕하세요? 유방암 경험자의 한약복용관련된 질문을 한가지 드리고 싶습니다. 질문: 허리협착증 증상개선을 위해 자생한방병원에서 한약처방을 받고 한약이 들어간 약침치료를 받아도 괜찮을까요? 저에게 약 3년전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1기 진단/수술/방사선 치료 받고 추적관리중인 아내가 있습니다. 참고로 2020년 11월 부분절제 후, 2020년 12월부터 방사선치료 약 40회를 받았으며 2020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타목시펜 복용 + 루프린 주사로 치료를 했습니다. 두 약물 치료는 부작용으로 2022년 1월에 중단하여 지금은 추적만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2023년 10월 23일 전신검사 결과에서 특별한 이상은 없었습니다. 얼마전부터 협착증 증상으로 허리와 다리가 불편해서 자생한방병원에 내원해 추나요법을 받으려고 하는데요. 한의사 선생님께서는 추나요법보다는 한약과 한약성분이 들어간 약침치료를 권하십니다. 한약과 약침 치료는 메인이 되는 치료법이며, 3-6개월정도 한약섭취와 주 1-2회 방문약침치료가 필요하고, 다른 유방암환자들도 문제없이 치료를 받고 있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한의사선생님께서 한약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해소하기위해 안심이 되는 좋은 말씀들을 많이 해주셨고, 해당 한약에 포함된 약재를 알려주셔서 필요한경우 주치의 선생님께 문의해보라고도 해주셨습니다. 메인이 되는 약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가피,두충,방풍,무슬,구척,골쇄보 등 ) 일리있는 한의사 선생님 말씀에도 확신이 서지 않아 루닛케어팀에 문의를 드리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참, 루닛케어 서비스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좋은 서비스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호르몬수용체
#추적관찰
#주치의
#정서적돌봄
#약물복용
#한의학
#보완대체요법
#부작용
#의사소통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약은 한약재를 물에 우리거나 고농도로 농축하여 먹기 때문에 간 독성 등의 이 우려되어 섭취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한약은 여러 가지 약재를 섞어 처방하는 점에서 개별 약재들의 효과나 영향을 특정 과 관련하여 평가하는데 제한이 있고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 사례가 많지 않습니다.



특히 일부 한약재에는 식물성 이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으로 추적 관찰 중이시므로 여성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식물성 물질의 인위적인 섭취나 항응고제 성분의 섭취는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말씀해주신 각 약재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오가피, 두충, 방풍, 우슬, 구척, 골쇄보의 경우 디스크와 관절염 등 염증성 골관절 질환 치료를 위하여 자생한방병원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한약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중 두충과 골쇄보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초인 방풍에는 쿠마린이라는 성분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치료를 하는 경우 쿠마린계의 항응고제는 간대사를 억제하여 항응고 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해야합니다. 현재는 타목시펜 치료를 중단한지 1년 9개월이 넘었으므로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우려는 적지만,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 후 복용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불어 이런 약재를 이용한 약침 등의 침술은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아직은 연구가 더욱 되어야 할 분야로 일반화하기엔 제한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감염 및 출혈 위험성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현재는 치료가 종결된 상황으로 치료 중보다 한약, 침술과 같은 보완 요법 선택에 있어 자유로운 편에 속하지만, 전문 의료진과 신중히 상의 후 결정하시어 그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시면 좋겠습니다. 보완 요법을 받으실 땐 자격을 갖춘 전문가를 찾고, 해당 요법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말씀드립니다. 다음은 국가정보센터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관련하여 안내하는 주의점이니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 기존의 의학적 치료를 중단하라고 권유하거나 기존의 의학적 치료법이 자기들이 제공하는 치료법을 방해할 거라고 주장하는 경우
* 의사와 상의하지 말라고 하거나, 요법의 비밀 성분 또는 비법을 말해 주지 않는 경우
* 특정 보완 대체 요법이 모든 암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
* 시술자들이 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한 임상 연구가 존재한다고 말하지만, 여러분에게 그 증거를 보여주지 않는 경우
* 치료 비용이 많이 들거나 치료비를 한꺼번에 달라고 하는 경우
* 시술자들이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공인되지 않은 기관이나 대학에서 공부한 사람들인 경우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암정보센터-보완대체요법
  • Cichello, S. A., Yao, Q., Dowell, A., Leury, B., & He, X. Q. (2015). Proliferative and Inhibitory Activity of Siberian ginse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 on Cancer Cell Lines; A-549, XWLC-05, HCT-116, CNE and Beas-2b.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APJCP, 16(11), 4781–4786. 
  • Fu, C., Zheng, C., Lin, J., Ye, J., Mei, Y., Pan, C., Wu, G., Li, X., Ye, H., & Liu, X. (2017). Cibotium barometz polysaccharides stimulate chondrocyte proliferation in vitro by promoting G1/S cell cycle transition. Molecular medicine reports, 15(5), 3027–3034. 
  • Gao, J. W., Zhan, Y., Wang, Y. H., Zhao, S. J., & Han, Z. M. (2023). Advances in Phytochemistry and Modern Pharmacology of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9(11), 1033–1044. 
  • He, X., Wang, J., Li, M., Hao, D., Yang, Y., Zhang, C., He, R., & Tao, R. (2014). Eucommia ulmoides Oliv.: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1(1), 78–92. 
  • Kiuchi F. (2022). Saponin constituents of Achyranthes root. Journal of natural medicines, 76(2), 343–351.
  • Lee, Y. E., Liu, H. C., Lin, Y. L., Liu, S. H., Yang, R. S., & Chen, R. M. (2014). Drynaria fortunei J. Sm. improves the bone mass of ovariectomized rats through osteocalcin-involved endochondral ossificat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58 Pt A, 94–101. 
  • Li, T., Ferns, K., Yan, Z. Q., Yin, S. Y., Kou, J. J., Li, D., Zeng, Z., Yin, L., Wang, X., Bao, H. X., Zhou, Y. J., Li, Q. H., Zhao, Z. Y., Liu, H., & Liu, S. L. (2016). Acanthopanax senticosus: Photochemistry and Anticancer Potential.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44(8), 1543–1558.
  • Lu, W., Dean-Clower, E., Doherty-Gilman, A., & Rosenthal, D. S. (2008). The value of acupuncture in cancer care. Hematology/on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2(4), 631–viii. 
  • Jang, S., Ko, Y., Sasaki, Y., Park, S., Jo, J., Kang, N. H., Yoo, E. S., Park, N. C., Cho, S. H., Jang, H., Jang, B. H., Hwang, D. S., & Ko, S. G. (2020). Acupuncture as an adjuvant therapy for management of treatment-related symptoms in breast cancer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ISMA-compliant). Medicine, 99(50), e21820. 
  • Ju, Y., Liang, H., Du, K., Guo, Z., & Meng, D. (2021). Isolation of triterpenoids and phytosterones from Achyranthes bidentata Bl. to treat breast cancer based on network pharmacology. Natural product research, 35(24), 5939–5942. 
  • Wang, H., Li, M. C., Yang, J., Yang, D., Su, Y. F., Fan, G. W., Zhu, Y., Gao, X. M., & Paoletti, R. (2011). Estrogenic properties of six compounds deriv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 and their differing biological activity through estrogen receptors α and β. Food chemistry, 129(2), 408–416.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