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Q. 암 수술을 잘 받았는데 다른 부위에 또 생겼습니다. 왜 이차암이 생긴 걸까요?

2024.03.14.

갑상선암 자궁경부암 수술을 두번이나 해서 잘됐는데, 이번엔 유방암 이라고 하는데, 어째서 반복이될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2차암
#통계
#발생원인

반복되는 새로운 진단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루닛케어에서 제공해드리는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암 치료 성적이 좋아지면서, 암을 경험하신 분들이 새로운 암(이차암)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호르몬 변화,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차암을 진단 받는 위험이 높아 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차암이란, 기존 암 환자분께 암 치료 과정이나 이후에 새롭게 발생하는 암입니다. ‘이차성 ’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이는 처음 진단 받아서 치료 받은 암이 다시 나타나는 ‘’하거나, 다른 부위로 옮겨져서 자라는 ‘’와는 다른 것으로, 기존의 암과 다른 새로운 암이 발생한 것입니다.

미국 통계에 의하면 이차암 발병은 전체 암의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생 동안 이런 이차암이 발생할 확률이 암 생존자 9명 중 1명으로 예측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또한, 다른 여러 연구들에서도 암 환자에게 새로 이차암이 생길 위험이 암을 경험하진 않은 일반인에서 암이 생길 위험보다 1.1-1.6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차암을 일으킬 수 있는 각각의 원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생활 습관: 흡연, 비만, 운동 부족, 불균형한 식습관 등은 다양한 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문헌 고찰 결과, 술을 정기적으로 마시면 유방암 위험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흡연 기간 동안 술을 마시면 암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식이 요인의 경우, 30%로 보고되고 있어 암을 예방하는데 있어 식습관 조절을 통한 체중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저희 루닛케어 생활백서에서는 암 환자의 생활습관 관리에 대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내용을 참고하시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래 카테고리를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유전적 요인: 특정 유전자 변이는 여러 종류의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 BRCA2 유전자 변이는 유방암과 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다른 유전적 요인들도 다양한 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호르몬 변화: 특히 여성에서 호르몬 변화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의 발생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기간의 노출은 유방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4. 환경적 요인: 방사선 노출과 같은 일부 환경적 요인도 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직업상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다면 보호장구 착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암 발생의 정확한 원인은 매우 복잡하며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담당 의사 선생님과의 상담과 검사를 통해 개인의 건강 상태와 위험 요인을 정확하게 평가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직 개선되지 못한 식습관이나 운동과 같은 생활 습관이 있다면, 이를 개선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암을 한번 겪었던 분들도 이차암이 발병하였을 때 검진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완치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치료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암 검진을 받으시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암 치료 과정 중 경과 관찰을 위해 받으시는 검사에는 기존에 진단 받은 암 이외에 다른 암에 대한 검사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6대 암(, , , 유방암, 자궁 경부암, ) 대상으로 국가암검진 사업 수행하고 있으니 정해진 기간에 검진을 받으시길 권고 드립니다. 국가암검진에 대해 알면 도움이 되는 정보를 루닛케어 주제별 암정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곳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며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서울대병원 홈페이지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 Nielsen, S. M., White, M. G., Hong, S., Aschebrook-Kilfoy, B., Kaplan, E. L., Angelos, P., Kulkarni, S. A., Olopade, O. I., & Grogan, R. H. (2016). The Breast-Thyroid Cancer Lin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cosponsor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Preventive Oncology, 25(2), 231–238.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