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Q. 폐기종과 폐암 4기 진단,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2024.04.29.

폐기종 폐기능 50프로 폐암 (소세포or 편평) 4기 4.8cm 수술 및 항암치료 어려울까요?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발생률
#가족력
#발생부위

현재 4기 진단을 받으시고 폐기종과 폐기능  제한이 있는 상태로 수술 및 가 가능한지에 대해 문의주셨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폐암 4기로 된 상태일때는 일반적으로 전신치료인 항암치료가 주된 치료방법이며 이는 나 면역치료를 포함합니다. 또한  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기위해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편평폐암의 경우 의 한 종류이며 과 구별되는 으로  치료방법과 가 다르기 때문에 진단 받으신 암종이 어느 것인지에 따라  치료방법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소세포폐암(편평상피세포폐암)의 경우,  비교적 천천히 진행되고 수술할 수 있는 에 진단되면 수술을 먼저하고 항암화학치료나 는 수술 전 또는 후에 할 수 있으며, 진행되어 수술할 수 없을 때는 항암화학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합니다. 
반면 소세포암은 성장이 빠르고 일찍 전이되기 때문에 수술 가능한 상태에 진단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항암화학치료와 방사선치료에 반응이 좋습니다. 소세포암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수술보다는 항암화학치료가 원칙이며, 필요에 따라 방사선 치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폐암 치료 결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됩니다.

  • 크기 및 위치: 종양의 크기와 위치는 치료 방법 결정과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종양이 폐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면 선택할 수 있는 치료 방법과 전이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전이: 늑막 혹은 뇌에 전이가 의심되는 상태라면, 이 역시 치료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전이의 정도, 전이된 곳의 의 갯수, 어떤 장기에 전이가 발생했는지를 평가해야 합니다.
  •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수술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의 기존 질병, 기능 상태, 기존 치료 기록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유전자 검사 결과: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온 후에는 어떤 유전적 변이가 존재하는지와 이것이 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문헌조사결과,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폐기종과 폐기능 저하가 있는 상태라면, 폐암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많게는 9배까지 증가하여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전 폐기능을 최대한 회복한 후 수술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폐암 수술로 폐의 용적이 줄어들어 폐기능이 제한되는데, 남아있는 부위의 폐기능의 제한이 있거나 폐기종과 같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 후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일상생활 제한이 많을 수 있으며 동시에 두가지 모두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 후 합병증이 가중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

질문자님의 경우, 폐기능 50%, 즉 1초간 강제 날숨량이 50%로 제한이 있고 폐기종(질환명: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으신 상태이므로 만약 수술을 염두에 두신다면, 수술 전 담당 의사선생님 진료를 통해 충분한 검사와 상담이 진행되어야 하며 폐기능을 최대한 회복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들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으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치료의 결정은 환자, 보호자 그리고 의료진 간의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병의 진행에 대한 불편한 증상의 완화, 치료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태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담당 의사선생님과의 충분한 상담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들과 내용들을 안내받으시면 좋겠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 대한폐암학회 홈페이지
  • Lee, H. Y., Kim, E. Y., Kim, Y. S., Ahn, H. K., & Kim, Y. K. (2018). Prognostic significance of CT-determined emphysema in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Journal of thoracic disease, 10(2), 874–881. https://doi.org/10.21037/jtd.2018.01.97
  • Lee, S. A., Sun, J. S., Park, J. H., Park, K. J., Lee, S. S., Choi, H., Sheen, S. S., Chung, W. Y., Lee, K. S., Park, K. J., & Hwang, S. C. (2010). Emphysema as a risk factor for the outcome of surgical resection of lung cancer.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5(8), 1146–1151. https://doi.org/10.3346/jkms.2010.25.8.1146
  • 고령은1 , 신수민2 , 이 현1 , 박혜윤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1 호흡기내과, 2 흉부외과 ‘COPD환자의 폐암 선별과 수술위험도 평가’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