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촬영술에서 치밀유방이라고 유방초음파를 찍으라고 하네요. 치밀유방일때는 왜 유방촬영술 말고 유방초음파를 찍어야 하나요?
치밀유방으로 유방초음파 검사 예정이시군요. 치밀유방과 유방 촬영술 및 유방초음파 검사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유방은 유관과 유선이 속한 '실질조직'과 이를 둘러싼 ‘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실질조직의 양은 개인의 특성 및 연령에 따라 비중이 달라지며, 지방조직을 제외한 실질조직이 50%를 초과하는 경우에 치밀 유방이라고 불러요. 한국 여성의 70%는 치밀유방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유방 촬영술은 유방을 찍는 엑스레이로 유방 질환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 중 하나이지만, 유방촬영술로 모든것을 다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유방촬영술 결과 상 지방조직은 검은색, 실질조직과 은 하얀색으로 보이는데 실질조직 밀도가 높은 치밀유방은, 사진 상에서 전체적으로 하얗게 표시되기 때문에 병변이 가려져서 잘 안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유방초음파검사를 함께 해야 정확한 판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의사선생님께서 치밀유방에서의 정확한 병변 확인을 위해 유방초음파를 권하신것으로 생각됩니다.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답변과 관련된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라이브러리, 검진 > 검사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