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검사상의 EGFR:positive in>90%(strong) 는 무슨 의미 일까요?
EGFR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입니다. 표피 조직이란 신체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말하며, 피부나 내장 기관 그리고 유방 내 유관에도 표피세포들이 존재합니다. 표피세포에 붙어있는 수용체는 혈액 내 성장인자와 결합하여 세포의 성장을 돕게 됩니다. EGFR은 앞서 말한 표피세포에 붙어있는 수용체로 조직의 성장을 돕는 단백질입니다.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게 되면 과도한 성장 신호로 일부 세포들의 비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며 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질문 주신 ‘EGFR: positive in >90%’은 조직 검사 결과 암세포들 중 90% 이상이 EGFR 단백질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의 경우 EGFR의 수치가 치료 방법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EGFR 수치가 높을 경우 경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방암의 치료는 EGFR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성질, 크기, 정도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에 EGFR 수치 외 호르몬 수용체와 HER2 수용체의 양성 여부 등 종합적인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분의 정확한 상황을 알 수 없어 말씀드린 내용은 전반적인 정보로써만 참고 부탁드리며, 정확한 검사 결과 해석은 주치의 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로, EGFR은 경우에 따라 여러 수용체 단백질을 포함한 EGFR 계열의 단백질 집합을 지칭하는 경우가 있어 조직검사 결과 상 검출된 단백질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확인할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이 생긴다면 언제든 루닛케어에 질문해 주세요.
참고문헌
• National Cancer Institute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