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초기진단, 대학병원에서의 정밀검사로 전이여부 확인할 수 있나요?

2024.03.14.

50대 후반의 여성입니다. 3주 전 쯤에 왼쪽 겨드랑이와 가슴 사이에 멍울이 만져졌고, 멍울이 만져진 후 며칠 있다가 동네 외과를 방문했습니다. 초음파와 조직검사를 해보더니 유방암이라고 하더군요. 종양 크기가 1.12cm정도 된다고 하구요. 아직 초기라서 그렇게 걱정 안하셔도 된다고 말씀은 하는데, 이것저것 찾아보니 초기여도 림프절로 전이가 되는 케이스가 꽤 있었고, 전이가 되면 순식간에 3기, 4기로 금방 넘어가더라구요. 물론 암세포 크기가 그나마 작다는 점은 한편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하나, 작다고해서 마냥 안심하고 있을 수는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의사선생님 말씀으로 현재 제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큰 병원에서 좀 더 정밀한 검사를 받고, 실제로 수술을 해봐야 암세포 진행 및 전이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마침 인근에 대학병원이 있어서 이번 달 말로 예약을 했고 현재 기다리는 중입니다. 아마 그 곳에서도 각종 검사를 받은 후, 결과까지 본 후에 수술 날짜를 잡을 거 같습니다. 대략적으로 예상해도 수술을 받으려면 족히 한 달은 걸릴 거 같은데, 이 사이에 암의 진행상황이 급격하게 빨라진다거나, 전이가 시작된다거나 그러지는 않을까요? 암 판정을 받은 이후로 심리적인 부분에서 저도 모르게 스트레스를 받았나 봅니다. 컨디션이 좋은 적이 거의 없고 집 안에 있어도 몸이 추운 경우가 많습니다. 항암치료 받을 때 머리카락이 빠지는 수준까진 아니나, 머리를 감고 나면 머리카락도 꽤 많이 빠지구요. 멍울 자리를 만져봤는데 조직검사 받기 전보다 더 커진 느낌도 드는 거 같구요.. 혹시나 이런 일련의 증상들이 혹시 암의 전이가 시작되고 있다는 전조증상일까봐 더욱 걱정이 앞섭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운동/신체활동
#전이
#병기/TNM분류
#초음파검사
#정서적돌봄
#유방
#심리상담

진단 이후 많은 걱정과 고민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답변에 앞서, 루닛케어는 근거 기반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주치의의 진단과 치료 계획 범위 안에서 상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자체적인 진단과 처방을 내리거나 치료 계획을 결정하지는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의 성장 속도는 유방암의 종류, , 환자분의 나이, 유전자 변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유방암 환자 1702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일부 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진단 후 수술하기 전까지 지연되는 시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연구하였을 때 대기 시간이 6개월 이하인 경우 생존율의 차이가 미미하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 내용만으로는 유방암의 종류와 질문자분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자세한 답변을 드리지 못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유방암은 암의 크기, 겨드랑이 개수, 다른 장기로의 암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파악하게 되며 이때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인 TNM 분류 방식을 이용하여 병기를 나누게 됩니다. 분류 방식에 따르면 의 크기가 1.12cm일 경우 T1(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에 해당하며, 이후 림프절 전이, 다른 장기 등의 전이를 확인을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유방암의 병기와 전이 여부는 조직병리학적 검사, 영상의학적 검사 등의 검사들을 통합적으로 확인한 후 결정하게 됩니다. 현재 정밀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고, 언급하신 증상이 반드시 전이 전조증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후 될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암의 진행 상태, 종양의 종류를 파악 후 그에 따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의 진단과 치료는 그 자체로 스트레스가 됩니다. 이 스트레스가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으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암 진단 후 걱정이나 불안한 마음이 크실 수 있지만, 정서적 긴장을 완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충분한 휴식과 함께 좋아하는 일을 하며 몸 상태를 살피는 것, 규칙적인 운동(요가, 심호흡, 산책, 햇빛 노출 등), 의료진 상담, 가족이나 친구와의 대화, 기분이 좋아질 만한 활동이나 일들을 찾기 등이 있습니다. 

추가로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해 주세요. 

참고문헌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Breastcancer org 홈페이지
  • Yoo TK, Han W, Moon HG, Kim J, Lee JW, Kim MK, Lee E, Kim J, Noh DY. Delay of Treatment Initiat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Survival Outcome in Breast Cancer. Cancer Res Treat. 2016 Jul;48(3):962-9.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