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 림프절 생검을 한다는데, 왜하는지 진료실에서 정신없어서 자세히 못들었거든요. 왜 하는건지,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해요.
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시 이란 세포가 될 때 가장 먼저 퍼지는 림프절을 말합니다. 의 경우 감시 림프절은 주로 겨드랑이 부위에 있는 림프절인 경우가 많아요. 사람에 따라 감시 림프절의 개수와 위치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이란 감시 림프절을 떼어내어 암 세포의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에요.
보통 암이 진단된 상태에서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감시 림프절 생체 검사를 시행합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은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해요.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확인되지 않으면 연결된 다른 림프절에도 전이가 없다고 판단합니다. 특히 전이 가능성이 크지 않은 초기 암의 경우 림프절 전이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은 암 진단 후 수술 전, 혹은 수술 중에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변에 특수한 염색 약을 넣어 감시 림프절의 위치를 확인한 후 의심되는 림프절을 몇 개 떼어내어 생체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 때, 사람마다 검사하는 림프절의 개수는 다를 수 있어요. 감시 림프절에 전이가 발견 된다면, 림프절을 제거하는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감시 림프절을 떼어내는 검사는 이 크지 않아요. 간혹 림프 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액와림프절 곽청술에 비해 심각도가 낮고 시간이 지나면 회복이 가능합니다.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답변과 관련된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라이브러리, 진단 > 치료 전 유방암 관련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