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전절제술과 함께 액와 림프절 곽청술까지 했어요. 림프부종 부작용이 벌써부터 두려운데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은 제거 수술(액와 림프절 곽청술)을 받은 경우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입니다. 림프부종은 림프관 제거로 인해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림프액이 피부, 지방, 근육, 신경등을 포함하고 있는 연조직에 쌓여 발생합니다. 림프부종을 예방하기 위한 자세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감염 예방을 위한 피부관리 : 세심한 피부관리가 필요하며 수술한 유방쪽 팔에 상처가 나서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구체적으로는 크림이나 로션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 해주고, 겨드랑이 면도 시에 깨끗한 면도기를 사용하며, 팔이 바늘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화상이나 동상이 생기지 않도록 극도로 뜨겁거나 차가운 온도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환측 팔에는 주사를 맞거나, 채혈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과 같은 감염 징후가 있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하여 즉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는것이 좋습니다.
-압박하지 않기 : 신축성 있는(팔 다리가 조이지 않는) 의복을 착용 하시는 것이 좋고 조이는 장신구들 역시 피하는것이 좋으며 핸드백을 환측 팔에 거는 것, 환측 팔에서 혈압을 측정하는것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측에 혈류가 저류되지 않게 하기 : 가능하면 심장보다 팔을 높게하는것이 좋고 사우나와 같이 장시간 열이 가해지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감량, 정상 체중 유지 : 비만 또한 림프 의 위험 요인이므로 과체중인 경우 체중감량을 하거나 정상 체중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근력운동 : 기존에는 환측 팔을 운동하는 것을 금지하였으나, 최근 연구들에서는 의료진의 감독하에 서서히 증량하는 근력운동을 하는 것이 림프부종을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결과가 확인되어 과하지 않은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도수림프배출법 : 전문치료사가 지속적으로 도수림프배출법을 시행하는 경우 림프부종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일부 보고도 있습니다.
예방법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림프부종이 생길 경우 담당의사선생님과 면담 후 비수술적 방법 또는 수술적 방법을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답변과 관련된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라이브러리, 치료 그 후의 삶 > 재활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