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 MRI, 흉부엑스레이, 뼈스캔 등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딱히 별다른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뼈나 기타 다른 장기에 전이는 아직까지 없다는 뜻인 거 같은데 마지막으로 남은 것이 림프절 일부를 떼어내어 림프전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거잖아요. 림프절 전이가 있다면 유방암 예후는 어떤가요? 림프절 전이가 있을 때와 기타 다른 장기 혹은 뼈전이의 경우를 비교해봤을 때 예후 차이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유방암 발견 당시 종양 크기는 1cm 정도 되는걸로 얘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유무 및 타 장기 전이가 유무에 따라 가 달라지며, 그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림프절 전이 개수에 따라 1~3기로 분류될 수 있으며 타 장기 전이가 있을 경우 유방암 4기로 분류됩니다. 2022년 한국 유방암 학회 자료에 따르면 유방암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기인 경우 96.6%, 2기 91.8%, 3기 75.8%, 4기 34%로 확인되었습니다.
유방암의 병기는 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며,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분류 기준인 TNM 분류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분류란 암의 크기,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 개수, 다른 장기로의 암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를 나누는 기준을 말합니다. 유방암 병기와 관련된 정보는 루닛케어 서비스 내 ‘유방암 병기에 따른 분류'를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방암 전이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이란 유방, 림프절 그리고 다른 장기에서 암이 발견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림프절 전이는 상 유방암이 액와림프절로 전이되었을 경우 말하며, 일반적으로 과 더불어 액와림프절 곽청술을 하게 됩니다. 림프절 전이 범위에 따라 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유방암이 폐, 뼈, 간, 뇌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유방암 4기로 분류되며, 암이 더 진행되지 않고 전이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치료가 시행됩니다. 유방암이 전이된 경우, 전이된 암의 위치와 크기, 과거의 치료 방법, 현재 나타나는 증상 등을 고려하여 담당 의사선생님이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존 유방암 치료 방식이었던 , , 방사선치료, 항호르몬요법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수술적 치료 방법은 전이 단계에서 자주 시행되지는 않지만,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방암 진단 및 수술을 앞두고 많은 불안과 걱정이 있으신 부분 공감하며,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