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검사받았는데 몆년간검사또받아야되는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발생률이 높아지는 40세 이상 성인은 증상 없이도 2년에 한 번씩 위암 검진을 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하지만 복부 증상 유무 및 위 질환 등에 따라 개인별로 주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국인에서 위암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발생빈도가 높은 이며, 조기에 발견하면 80~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입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을 적극적 권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국가암검진사업의 일환으로 위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40세-74세 성인은 별다른 증상이 없어도 2년에 한 번씩 위 검진(위내시경, 위장조영술)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위 내시경에서 위축성 위염, 위궤양, 장상피화생, 이형성 등을 진단 받은 경우, 위 의 상태와 범위에 따라 일반적으로 2개월-1년 사이에 추적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 질환에 따른 검사 주기는 질환의 진행 상태와 범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나 형제 중 위암 이 있는 경우, 위 이나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을 시행 받은 경우라면 1년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만약 위의 경우에 해당하신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질문자님께 알맞은 검사 주기를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전 내시경시 특이소견이 확인되지 않았더라도 아래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사선생님과 상담하여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님의 자세한 정보를 알지 못하여, 일반적인 내용 전해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루닛케어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앞으로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루닛케어에 언제든지 편하게 질문 남겨 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힘이 되어 드리겠습니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