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검사에서 석회가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유방검사 결과 석회가 있다는 말씀을 들으셨군요. 유방촬영술(맘모그램)을 통해 유방 를 발견한 경우 영상의학과 선생님이 양성/악성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며, 이 의심될 경우에는 유방 확대 촬영술 또는 조직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추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이 달라질 수 있으며, 유방 석회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방 석회화란 유방 조직에 칼슘 성분이 침착되어 유방촬영술 검사 상에서 하얗게 보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칼슘 섭취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선의 염증 및 외상 등의 다양한 이유로 유선이 막히고, 배출되지 못한 물질이 쌓이거나 정상적인 노화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방 석회화는 악성이 아닌 양성 석회화로 판정됩니다. 양성 석회화로 진단받을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으면 치료가 요하지 않으며, 대신 6개월 ~ 1년 간격으로 추적관찰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규칙한 모양이거나 미세한 가루 형태의 석회화의 경우 때때로 으로 의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유방촬영술 결과 유방 석회화가 의심된다면 조직검사와 같은 추가 검사를 하여 악성 석회화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검사 결과 적은 확률로 유방암을 진단받을 수 있으나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회화 발견으로 인한 추가 검사가 유방암 조기 발견으로 이어져 가 비교적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유방암으로 진단받을 경우 수술을 비롯한 유방암에 대한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추가 검사를 시행하신 상황인지 알 수 없어 자세한 설명이 어렵지만, 너무 염려하시기보다는 담당 의사선생님과 충분한 상담을 진행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가 검사 진행될 시 검사 과정 또는 치료 계획 등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다시 한번 질문 남겨주세요.
참고문헌
• Breastcancer.org 홈페이지
• Mordang, J. J., Gubern-Mérida, A., Bria, A., Tortorella, F., Mann, R. M., Broeders, M., den Heeten, G. J., & Karssemeijer, N. (2018).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calcification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n screening.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67(2), 451–458.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답변과 관련된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루닛케어 라이브러리, 의심 > 검진 결과 및 차후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