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Q. 유방암 수술 전 땅콩, 개고기, 비타민C, 두유 등 섭취 괜찮을까요?

2024.03.14.

안녕하세요~ 어머님이 유방암 2기 진단받으시고 다음달 말에 수술하십니다~ 수술날 앞당기고 싶어도 마음대로 안되니 운동 체력보강하면서 기다릴려고하는데 무엇을 먹어야 될지 모르겠네요 1. 땅콩 먹어도 될까요? 2. 어머님이 개고기 좋아하시는데 먹어도 될까요? 3. 비타민c 영양제 먹어도 될까요?? 4. 우유는 먹으면 안좋다해서 두유 먹을까 하는데 괜찮을까요? 5.유방암 수술전 보양식이나 음식 무엇을 먹는게 좋을까요? 지금 생각나는건 이정도 입니다만 또 궁금한거 있으면 여쭈어보겠습니다~ 

A. 루닛케어 의료팀 답변
#생활습관
#예방법
#비타민
#영양소
#식습관/식단
#증상
#정서적돌봄
#수술
#유방
#면역저하

어머님의 수술을 기다리는 가족 모두 얼마나 긴장되실까요. 그 마음이 주신 글에서 고스란히 느껴집니다.
먼저, 유방암 수술 전 식이에 대해 말씀드리면 되도록 수술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러므로 식이를 조절해야 할 기저 질환(예: 당뇨병, 신장 질환, 통풍 등)이 없으시다면, 수술 후 회복을 위해
평상시 드시던 대로 골고루 드시도록 도와드리세요. 그중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술, 한약, 녹즙 그리고 혈액순환 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늘 농축액, 은행잎 제제, 농축액 등은 수술 전 주의하셔야 하므로 혹시 섭취 중인 식품이 있으시다면 의료진과 섭취 중단 시기에 대해 상의가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문의하신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유방암과의 연관성에 관해 설명을 하겠습니다.

  1. 땅콩
    땅콩과 유방암 간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한 체계적 문헌 고찰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땅콩의 일부 성분이 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유방암 치료 중 식욕이 저하된 유방암 환자에게 입맛을 살리기 위해 추천하는 음식 중 하나로 땅콩 섭취를 권장하는 연구결과 등 서로 다른 결과들이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유방암과 땅콩의 상관관계에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한국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땅콩의 권장량은 1일 8 ~ 16알 정도로 하루 한 줌 정도 섭취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 개고기
    우리가 식품으로 섭취하는 가축은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의해 관리되는데, 법에서 정의한 것은 소, 말, 양, 염소, 산양, 돼지, 사육하는 멧돼지, 닭, 오리, 그 밖에 식용을 목적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동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개는 법의 관리에서 벗어나 유통과정이나 위생의 검증이 어려운 가축 중 하나입니다. 특히 유방암 치료중 면역이 저하 된 상황에 섭취하신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므로 기름기가 적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다양하고 안전한 선택지에서 단백질의 섭취를 제안합니다.
  3. 비타민C 영양제
    비타민C 섭취가 유방암 및 기타 암의 위험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다양한 연구가 있습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비타민C의 하루 권장량은 100mg / 하루 최대 2,000mg 으로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통해 섭취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충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00mg 이상의 고함량 비타민 섭취는 설사, 복부 팽만 및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와파린 같은 와 함께 섭취하는 경우 기대하지 않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산화작용을 촉진하여 방사선 치료 중 암 치료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식품을 통해 비타민C를 섭취하시도록 하고 복용 중인 약제가 있거나 방사선 치료를 계획하시게 된다면 의료진과 비타민 C 섭취에 대해 상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4. 우유/두유
  5. 우유: 국내외에 다양한 연구를 확인한 결과 유방암과 우유 섭취의 관계에 대한 일관적인 결과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국내 40 ~ 69세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암과 우유 섭취에 대해 조사한 대규모 연구에서, 우유가 유방암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너무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 우유속에 성분중 인슐린유사 성장인자(IGF-1)로 인해서 유방암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 한 잔(200ml) 정도의 저지방 우유는 드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과한 섭취는 지양하는 것을 권유드려요.
  6. 두유: 유방암 또는 자궁근종과 콩의 섭취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콩 중에서도 특히 대두에 천연 으로 불리우는 (Isoflavone) 이라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형태를 갖고,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호르몬 양성 유방암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그 결과로 인해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확실한 근거는 없습니다. 반면에, 한 연구에서는 검은콩을 발효시킬 경우 나오는 성분 중 하나인 글리시테인에 항암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혹시나 수술 전 조직검사 결과에서 호르몬 양성 유방암 진단을 받으셨다면, 두유를 포함한 적정량의 콩 섭취는 괜찮지만, 높은 농도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는 알약 형태의 콩 보충제는 지양하는 것을 권장드려요.

5. 유방암 수술 전 보양식
서두에 언급 드렸듯이, 유방암 수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에 방해되지 않는 식사를 하는 것입니다. 특히 수술이 예정된 상황에서는 불안감으로 평소 없던 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보양식 같은 고단백, 고칼로리 음식이라면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도 있고요. 그러므로 어머님의 입맛에 맞는 음식으로 골고루 챙겨 드리되, 수술 전 주의하여야 할 식품을 기억해 두시고, 수술받으실 병원의 안내 사항에 따라 몸과 마음을 준비하셨으면 합니다.

어머님 수술 잘 되시고,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축산물위생관리법
•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
• breastcancer.org 홈페이지
• Paola De Cicco ,Maria Valeria Catani,Valeria Gasperi ,Matteo Sibilano ,Maria Quaglietta,Isabella Savini.(2019) Nutrition and Breast Cancer: A Literature Review on Prevention, Treatment and Recurrence. Nutrients 2019, 11(7), 1514
• Park, E. S., Lee, J.-Y., & Park, K.-Y. (2015, September 30). Anticancer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Qiu, S., & Jiang, C. (2019). Soy and isoflavones consumption and breast cancer survival and recurr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58(8), 3079–3090.
• Shin, W. K., Lee, H. W., Shin, A., Lee, J. K., & Kang, D. (2019). Milk Consumption Decreases Risk for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under 50 Years of Age: Results from the Health Examinees Study. Nutrients, 12(1), 32.
• Wang, F., Jiao, P., Qi, M., Frezza, M., Dou, Q. P., & Yan, B. (2010). Turning tumor-promoting copper into an anti-cancer weapon via high-throughput chemistry. Current medicinal chemistry, 17(25), 2685–2698.
• Wang, W., Sindrewicz-Goral, P., Chen, C., Duckworth, C. A., Pritchard, D. M., Rhodes, J. M., & Yu, L. G. (2021). Appearance of peanut agglutinin in the blood circulation after peanut ingestion promotes endothelial secretion of metastasis-promoting cytokines. Carcinogenesis, 42(8), 1079–1088.

루닛케어 라이브러리에서도 답변과 관련된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 루닛 라이브러리, 치료 중 > 슬기로운 치료생활
• 루닛 라이브러리, 예방 > 암을 예방하는 생활-음식

  • 루닛케어 답변은 체계적 문헌고찰 또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의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본 정보는 진료를 대신할 수 없고, 주치의의 조언을 대체하지 않으며, 법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는 내용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명기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질문들
AI 추천

유용한 정보는 친구에게 공유해 보세요.
선물도 함께 공유됩니다.자세히 보기